[FE기초]CSS 다루기
css가 무엇인지 어떤 방법으로 사용하는지 대략적으로 이전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CSS를 다루기 위한 방법들을 알아보고 정리해보려 한다.
[FE기초] CSS 기초
[FE기초] CSS 기초이전포스팅을 마지막으로 HTML에 대한 기초 강의가 마무리되었다.주로 사용하는 HTML 태그들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이제 스타일을 담당하는 CSS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자백엔드 개
developer-dodo.tistory.com
1. selector(선택자)
선택자란 CSS에서 말그래도 어떤 것에 스타일을 입힐지 선택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일반적인 CSS 구조를 한번 보자
아래 처럼 선택자를 선택하고 {} 중괄호를 통해 영역을 정하고 그 내부에 스타일에 대한 설정을 작성하는 방식이다.
선택자 {
스타일 설정
}
선택자를 사용하는데 크게 3가지 방법이 존재한다.
◼ 선택자(Selector)
1. 태그 사용 방법
h1, p 와 같은 태그명에 스타일을 입히는 것이다.
이렇게 하면 스타일을 입힌 태그에 일괄적으로 해당 스타일이 적용될 것이다.
h2 {
color: green;
text-align: center;
}
p {
color: grey;
font-weight: 500;
text-align: center;
}
2. 클래스명 사용방법
span class = "" 과 같이 태그의 class를 통해서 정해진 클래스에 원하는 스타일을 입힌다.
class의 스타일을 작성할때는 . 을 앞에 반드시 붙여준다.
.blue--text {
color: blue;
}
.red--text {
color: red;
}
3. id 사용 방법
클래스가 아닌 태그의 id 속성값을 정하고 그 id에 맞게 디자인을 주는 것이다.
이때 id는 중복될 수 없다.(프로그램 언어에서 변수명 할당하는 거랑 비슷한 개념)
사용할때는 #을 반드시 앞에 명시해야한다.
#korea {
font-weight: bold;
font-size: 60px;
background-color: aqua;
}
◼ 속성 선택자(Attribute selector)
주어진 속성을 가진 모든 요소를 검색하는 방법이다.
하나씩 문법을 알아보자
1. attr
해당 태그의 속성이 존재하는 모든 요소에 적용한다.
a[href] {
스타일
}
2. attr=value
태그의 속성이 value와 일치하는 요소에만 적용
a[href="http://www.google.com"] {
스타일
}
3. attr=*=value
태그의 속성이 value를 포함하는 요소
a[href*="google"] {
스타일
}
4. attr^=value
태그의 속성이 value로 시작하는 요소
a[href="http"] {
스타일
}
5.attr$=value
태그의 속성이 value로 끝나는 요소
a[href=".com"] {
스타일
}
◼ 그룹 선택자(Group selector)
선택자를 쉼표로 구분해서 여러 선택자를 나열한다.
같은 스타일을 여러 선택자에 한번에 정의 가능
선택자1, 선택자 2{
스타일 정의
}
/*예시*/
h1,h2 {
text-align: center;
}
2. 결합자
결합자는 총 4가지의 종류가 존재하며 결합자를 사용해서 태그 내부의 태그에 지정이 가능하다.
즉 결합자를 통해서 원하는 태그 내부의 요소에만 특정한 스타일을 지정 가능하게 해준다.
1. 자손 결합자
자손(공백) 결헙자는 첫번째 요소의 자손인 태그를 선택한다.
사용 방법은 A B
즉 div 태그의 내부에 span태그가 있다면 모든 span태그를 선택해서 스타일을 지정하는 것이다.
div span{
스타일 지정
}
2. 자식 결합자
자식 결합자는 현재 태그의 하위에 존재하는 태그만 선택
사용 문법은 A > B
div > span 이라고 해보자
그리고 div 내부에 div의 span이 있다고 가정하면 이 span은 적용이 될까?
정답은 ❌ 해당되지 않는다.
자식 결합자는 자식 즉 현재 태그의 자식 태그에만 적용되고 자손 태그 까지는 적용되지 않음
ul > li {
스타일
}
3. 일반 형제 결합자
일반 형제 결합자는 형제, 즉 첫번째 요소를 뒤따르고 같은 부모를 공유하는 두번째 요소를 선택한다.
사용법은 A ~ B
현재 A로 시작하는 태그 뒤에 따라오는 동일 레벨에 존재하는 B태그에 대한 스타일 설정
p ~ span {
color: red;
}
<span>이건 빨강이 아닙니다</span>
<p>여기 문단이 있습니다.</p>
<code>여기는 코드가 존재한다.</code>
<span>이제 빨강 시작</span>
<code>여기도 코드 존재</code>
<span>여기도 빨강</span>
이렇게 예시가 있으면 p 뒤에 있는 2개의 span에 대해서 스타일을 적용한다.
4. 인접형제 결합자
일반 형제와 다르게 말그대로 인접한 태그 하나만 적용된다.
사용법은 A + B
위에서 보여준 예시를 통해서 동일하게 하고 인접형제 결합자를 적용해보자
p + code 라고 한다면
p의 바로 뒤에 있는 code에만 해당 스타일 내용이 적용될 것이다.
'Front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E기초] CSS - Box Model & Display (0) | 2024.04.26 |
---|---|
[FE기초]CSS폰트 (0) | 2024.04.25 |
[FE기초] CSS 기초 (0) | 2024.04.25 |
[FE기초] Head 태그 (0) | 2024.04.25 |
[FE기초] Form 태그 (0) | 2024.04.24 |